반응형
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184 9184번: 신나는 함수 실행 입력은 세 정수 a, b, c로 이루어져 있으며,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. 입력의 마지막은 -1 -1 -1로 나타내며, 세 정수가 모두 -1인 경우는 입력의 마지막을 제외하면 없다. www.acmicpc.net 난이도: solved.ac 실버 2 알고리즘 분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(dp) 구현 배열의 index는 0부터 시작하므로 50을 더해 0부터 100까지의 index를 가진 3차원 배열 dp를 만들어주었다 문제에서 주어진 pseudo 코드를 그대로 옮기면 안된다 나는 두 번째 if문을 따로 처리해주었다 (이유: pseudo 코드의 순서대로 진행하면 w(20,20,20)이 만들어지지 않았는데 w(20,2.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309 1309번: 동물원 첫째 줄에 우리의 크기 N(1≤N≤100,000)이 주어진다. www.acmicpc.net 난이도: solved.ac 실버 1 알고리즘 분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(dp) 접근 방법 이 문제에서 중요한 부분은 가로 또는 세로로 붙여서 배치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, 사자를 배치하는 경우는 아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) 이전 칸에서 왼쪽에 배치한 경우 2) 이전 칸에서 오른쪽에 배치한 경우 3) 이전 칸 둘 다 배치하지 않은 경우 1번의 경우에는 이전에 왼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왼쪽에 또 배치시킬 수 없다 따라서 오른쪽 칸에 배치시키거나 아예 둘 다 비워놓는 경우만 가능하다 2번의 경우에는 이전에 오른쪽에 배치되어.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758 11758번: CCW 첫째 줄에 P1의 (x1, y1), 둘째 줄에 P2의 (x2, y2), 셋째 줄에 P3의 (x3, y3)가 주어진다. (-10,000 ≤ x1, y1, x2, y2, x3, y3 ≤ 10,000) 모든 좌표는 정수이다. P1, P2, P3의 좌표는 서로 다르다. www.acmicpc.net 난이도: solved.ac 골드 5 알고리즘 분류 기하학 접근 방법 벡터의 외적 + 신발끈 공식을 사용한다 세 개의 점 P1, P2, P3가 있다고 할 때, P1에서 P2로 가는 벡터를 a, P1에서 P3로 가는 벡터를 b라고 하자 이때 a와 b 사이의 각도를 세타(θ)라고 하자 그리고 벡터 a와 벡터 b의 외적의 크기를 구한다 .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994 10994번: 별 찍기 - 19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. www.acmicpc.net 난이도: solved.ac 실버 4 알고리즘 분류 구현, 재귀 규칙 한 변의 길이가 4*N - 3인 N개의 정사각형으로 둘러쌓인 모양이다 구현 2차원 배열을 만들어서 각 N에 맞는 정사각형들을 그려준다 N = 4라면, 먼저 한 변의 길이가 4*4 - 3인 정사각형을 그려주고 그 다음 N = 3짜리인 한 변의 길이가 4*3 - 3인 정사각형을 그려주고 N = 2짜리인 한 변의 길이가 4*2 - 3인 정사각형을 그려주고 N = 1짜리인 한 변의 길이가 4*1 - 3인 정사각형을 그려준다 위처럼 왼쪽 변, 아래쪽 변, 오른쪽 변, .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166 2166번: 다각형의 면적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다각형을 이루는 순서대로 N개의 점의 x, y좌표가 주어진다. 좌표값은 절댓값이 100,000을 넘지 않는 정수이다. www.acmicpc.net 난이도: solved.ac 골드 5 알고리즘 분류 기하학 구현 신발끈 공식을 이용하면 매우 쉽게 풀 수 있다 그럼 신발끈 공식이 뭐냐!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8B%A0%EB%B0%9C%EB%81%88_%EA%B3%B5%EC%8B%9D 신발끈 공식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신발끈 공식(―公式)은 좌표평면 상에서 꼭짓점의 좌표를 알 때 다각형의.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026 10026번: 적록색약 적록색약은 빨간색과 초록색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한다. 따라서, 적록색약인 사람이 보는 그림은 아닌 사람이 보는 그림과는 좀 다를 수 있다. 크기가 N×N인 그리드의 각 칸에 R(빨강), G(초록) www.acmicpc.net 난이도: solved.ac 골드 5 알고리즘 분류 DFS, BFS 구현 적록색약이 아닌 눈으로 볼 때와 적록색약인 눈으로 볼 때의 두 경우를 각각의 함수 eyes1, eyes2로 만들었다 eyes1은 일반 BFS 함수와 동일하고, eyes2는 R과 G를 동일한 색으로 봐야하므로 큐에 맨 처음으로 들어가는 색깔이 R이나 G인 경우에는 B를 제외한 색(R 또는 G)일 때만 탐색을 이어나가고, ..